![](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4rVQo/btqZZT2bSbq/nTRJY5u0sdtmlQGTN4oxwK/img.jpg)
오늘은 다빈치 리졸브에서 영상효과를 넣는것에 대해 기본적인것들을 들었다....일단 Solid Color라는건데, 그것은 민무늬늬배경을 의미한다고 한다.주로 브이로그나 이쁜영상등을 만들때 사용한다고한다... 이상 솔리드 칼라였다..이제부터는 화면전환효과에 대해서 기록으로 남기겠다... 강의속에서는 짹슨님은 Blur Dissolve에 마우스를 대고 드래그한후 타임라인의 영상으로 가져가니 바로 블러디졸브 효과가 났는데, 나는 아무리 Blur Dissolve에 마우스를 누른체 드래그한후 영상에 가져가도 적용되지 않았다..아마도 다빈치 리졸브 버전차이때문인거같다....아닌가;;; 아무리해도 강의속처럼 되지 않아서 일단 나는 위의 사진처럼 두 영상사이의 거리를 벌린후 blur dissolve를 누른체 영상에 가져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nkGx/btqZSvMXnUg/yJay9cNnMNtOTSTsrjJQlK/img.jpg)
오늘은 자막형식을 미리 만들어서, 저장한후 새로운 영상을 만들때마다 미리 만들었던 자막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 기록으로 남기겠다...사실 어제 여기에 쓰일 자료는 이미 만들어놨었다...그리고 오늘 다음 강의를 듣고 영상자료를 만들려고했는데, 시간이 벌써 오전11시40분이다...오늘 너무 늦게 일어났다...요새 매일 새벽2~3시사이에 잠이 든다;;;;이런 패턴으로는 더이상 안되겠다 싶다......음...그만 주저리고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지금까지 배운내용들을 토대로 위와같이 아무영상이나 꺼내고 자막 백그라운드도 세팅하고 어쨋든 위와같이 간단하게 세팅해놓는다...단, 나는 자막에 백그라운드를 넣기가 싫다하면 타임라인에 영상을 세팅안하고 그냥 자막만 세팅한체 만들어도 무방하다.타임라인에 영상을 쓴 이유는 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dQue/btqZOsQiHrx/wRy2twE5dgXFtSFRK5Seyk/img.jpg)
오늘은 자막에 백그라운드를 입히는 강의를 들었다...이번강의는 비교적 쉽게 이해할수있었고,비교적 가볍게 포스팅을 할수있을만큼 시간적으로 그리많이 소요되지도 않았다...그럼 기록을 시작해보겠다.. 한마디로 Background에서 Center X,Y값은 움직일필요가 없다는것이다. 왜냐하면 자막뒤에 백그라운드를 겹쳐서 사용하는것이 대부분이라,글자위치를 최종적으로 정하는것이 중요한것이다.이상 자막에 백그라운드 넣는법에 대해서 기록으로남겨보았다....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을 받으셨다면 ♡공감 버튼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본 블로그를 유지해가는 힘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Sjd5/btqZrgYLeMc/n4QGkjK4FNN86Z1UFtClc1/img.jpg)
하지만 편집하는데 전혀 상관없고, 나중에 렌더링할때도 언제든지 다른포멧, 다른코덱으로 설정가능하기때문에 전혀 상관없다고 한다.그리고 아까 Playback에서 Render Cache 값을 User로 설정했는데...그게 뭐냐면...하고 계속 강의를 들었는데 왜 User로 설정했는데 나는 알수가 없었다..내가 이해를 못한거겠지 음.... 아마도 위의 설명은 User값으로 변경후 색을 살짝만 변경해줘도 컴퓨터 사양이 낮으면 영상 재생시 버벅될수도 있으니,랜더 캐쉬컬러 아웃풋을 눌러주면 컴퓨터 사양이 낮아도 영상재생시 버벅됨을 낮출수있다라고 이해했다..이게 맞는건지 사실 잘 모르겠다;;;; 강의를 진행하다 갑자기 편집시 주변이 복잡하면 시간이 더뎌딜수있다는 뉘앙스로 짹슨님이 말한거같다...해서 위와같은것을 갑자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ZWKHc/btqZtACC9nY/LJUw62vB3Tqr5msm5NWo8k/img.jpg)
지금까지 짹슨님의 유투브강의를 보고 그대로 따라하면서 캡쳐해서 하나하나 기록으로 남기고있는데, 점점 버거워짐을 느낀다.그래도 기억력이 하루하루 안좋아지는데 이렇게 라도 남겨야 후에 다시 보고 할수있을거같아 해볼수있을때까지 해볼까한다..근데 시간이 은근 많이 소요ㅠㅠ게다가 짹슨님의 강의는 90회가 넘는다는 음......참참..모든 최적화 작업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편집하기전에 세팅해놔야 한다.굉장히 중요한 사항이란다~~ 윈도우즈에서는 DNxHR 코덱을 많이 사용한다고 함...[DNxHR 444]는 영화에서 주로사용하고, [DNxHR HQX]는 High Qualily보다 조금 높다고한다..뭐가 높다는건지 잘은 모르겠으나 아마 해상도를 의미하는거같다. [DNxHR HQ]는 High Qualily고,[DNxHR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b5wD/btqZtz3pn9S/KjjW3QP8xPnQw5IUgN5Wrk/img.jpg)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오디오 더빙하기를 이어서 기록하겠다...사실 어제 만들어놓았는데, 더빙이 잘못된거같아서 더빙을 다시 해서 만드는과정에 시간이 조금 소요되었다...음...더빙을 하는데 의외로 노이즈 리덕션을 하지않은상태에서도 음질이 괜찮은거같아서리..하여튼 일단 대충 더빙도 했고...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다시 기록하겠다.. 타임라인의 오디오 트랙을 해체한후 다시 합쳐주는기능은 이번에 처음으로 기록하는것이고, 이기능은 정말 유용하게 앞으로도 사용할거같다.. 노이즈리덕션부분은 앞선 포스트에서도 기록으로 남겨둔것이다. 앞서 언근했지만 실제로 내가 더빙을 해서 노이즈 리덕션 사용전과 후로 나눠서 간단한 음성영상을 만들어보았다.헌데.....내 스피커에서는 둘다 비슷하게 들린다...확연히 차이가 나서 노이즈 리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j55rx/btqZqoHGGoj/EvNE25Gcs0YEPAtv5zpPN1/img.jpg)
오늘은 8분짜리 강의를 들었는데 포스트 만드는데 필요한 자료를 캡쳐하고 수정하는데 소요댔다;;;; 음.....결국 2편으로 나눠서 포스트를 올릴 예정이다. 그럼 기록을 남기기 시작하겠다..더빙(일명 voice over)는 후시녹음으로 촬영을 마친후, 녹음을 하는것이다. 여기서 잠깐...강의를 듣다가 모노사운드와 스테레오사운드의 차이점에 대해서 들을수있어서 그것을 기록으로 남기려한다.일단 모노사운드는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어느쪽으로 녹음을해도 양쪽에서 다 들린다고 했고, 스테레오 사운드는 왼쪽에서 녹음을 하면 왼쪽에서만, 오른쪽에서 녹음을 하면 오른쪽에서만 들린다고한다.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안가는게, 왼쪽에서 녹음을 한다는 의미가 뭔지를 모르겠다;;;;오른쪽에서만 녹음을 한다는것은 무슨의미인지도 모르겠다 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r26m/btqZdkGQmhq/4t9hz490doARBNJWZMrx2k/img.jpg)
오늘은 3분짜리 영상프레임 설정하는법에 대해서 강의를 보고 기록을 남기려고한다. 어느때와 마찬가지로 시간의 압박을 느끼며, 그림판으로 짜맞추기를 했으며, 오늘은 색다른 시도를 한번해보았다.그것은 다름아닌, 사진 부분확대기능이다.이것은 그림판으로 한게 아니라 PhotoscapeX라는 프로그램으로 한것인데, 첨이라 너무 어설프다;;; 위의 사진은 다빈치 리졸브 프로그램의 상단에 위치한 메뉴에서 File버튼을 누르고, Project Settings를 누르라는 의미이다.단축키는 위의 사진에 표기해두었다...돋보기 기능으로 멋지게 해보려고했는데 음;;;아직 포토스케이프X에 익숙하지않아서 뭔가 어설프게 되었다;;;; 바로 이 그림이 중요한데, 나는 영상편집을 하고있는 상태로 해서 Timeline frame rate..